아이들 금융 습관 만들기 (티니카드, 유스, 카뱅 미니 등)
어린이들의 저축 습관을 길러주기 위해 많은 은행들이 ‘어린이 적금’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들 상품은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돈을 모으는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보험이나 교육 관련 혜택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다양한 어린이 적금 상품을 소개하겠습니다.
시중은행 어린이 적금 상품 모음

신한은행 ‘신한 마이 주니어 적금’
신한은행의 ‘신한 마이 주니어 적금’은 최고 연 4%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기본금리는 3%이며, 우대금리는 최대 1%p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나 아동수당 수급 실적 등 조건을 충족하면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월 1만원부터 최대 10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가입 대상은 만 18세 이하의 미성년자입니다. 이 상품은 신한은행 영업점에서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 적금의 특별한 혜택은 조건을 충족하면 안심보험에 무료로 가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DB손해보험의 ‘프로미고객사랑보험’을 통해 식중독, 화상, 상해 후유장해, 학생 개인배상 책임 등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 가입은 미성년자의 법정대리인 동의가 필요합니다.
하나은행 ‘아이 꿈하나 적금’
하나은행의 ‘아이 꿈하나 적금’은 자녀의 출생이나 입학 등 특별한 해에 특별금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고금리는 3.75%이며, 기본금리는 2.95%입니다. 우대금리는 가입, 청약, 자동이체, 카드 사용, 아동수당 수령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0.8%p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만 14세까지 희망 대학에 등록하고 입학하면 만기 전 1년간 연 2.0%p의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은 만 18세 이하의 실명의 개인으로, 1인당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 가입 금액은 최대 150만원까지 가능해 자녀가 소액으로도 저축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어린이 적금 상품
하나저축은행 ‘잘파(Z+알파) 적금’
하나저축은행의 ‘잘파(Z+알파) 적금’은 최고 7%의 높은 금리를 제공합니다. 기본금리도 6.0%로 높으며, 우대금리 조건도 쉽게 충족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은 만 16세 이하의 본인 또는 자녀를 둔 부모로, 월 최대 1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습니다. 최대 3년간 연 단위로 가입이 가능하며, 입학이나 졸업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중도 해지 시 특별중도해지 금리가 적용됩니다.
우리 아이 소비 습관 길러주는 용돈카드
현금 없는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아이들의 용돈도 카드로 주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다양한 용돈카드 상품이 출시되었습니다.
토스 ‘유스(USS) 카드’
토스의 ‘유스(USS) 카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사용할 수 있는 카드로, 토스머니를 충전해 사용하는 선불 카드입니다. 교통카드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국내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습니다. 후불교통카드는 아니지만,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만 14세 이상이면 청소년 안심 업종 온라인 결제도 가능하며, 하루 최대 50만원, 월 최대 200만원까지 결제할 수 있습니다. 최초 발급 수수료는 없으며, 만 7세부터 만 16세까지의 토스 회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미니(mini)’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뱅크 미니(mini)’는 만 14세부터 만 18세 이하의 청소년 전용 카드입니다.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은행 계좌 없이 휴대폰 본인 인증만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 이용 한도는 50만원, 월 이용 한도는 200만원입니다. ATM 출금도 가능하며,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유해가맹점에서 결제가 제한되며, 체크카드와 동일한 소득공제율이 적용됩니다.
롯데카드 ‘티니카드 버터 에디션’
롯데카드의 ‘티니 카드 버터 에디션’은 인기 캐릭터와 제휴한 용돈카드로, 부모의 신용카드와 연결해 사용하는 후불교통 기능을 탑재한 선불카드입니다. 월 용돈 한도는 최대 50만원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추가 용돈 지급도 가능합니다. 후불교통 기능을 통해 청소년 또는 어린이 요금이 자동 적용됩니다. 부모는 디지로카앱을 통해 자녀의 용돈 사용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린이 적금과 용돈카드를 통해 아이들에게 저축과 소비 습관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상품들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자녀의 나이와 필요에 맞는 상품을 선택해 올바른 경제관념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