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남성 유방암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더 위험합니다.
몇 년 전 인기리에 방영된 드라마 질투의 화신을 보신 분들이라면 남성 유방암이라는 다소 낯선 병이 기억에 남을 것입니다. 극 중 남자 주인공이 유방암 진단을 받는 장면은 많은 시청자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보통 유방암은 여성의 병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남성 유방암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성도 유방암에 걸릴 수 있으며, 방심해서는 안 되는 질병입니다. 오늘은 남성 유방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남성 유방암이란

남성 유방암은 말 그대로 남성의 유방에 암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남성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매우 낮아 0.1% 미만이지만, 매년 50에서 100명 정도의 남성이 이 병을 진단받고 있습니다. 이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숫자입니다.
남성 유방암의 원인
남성 유방암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주로 두 가지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첫 번째는 여성 호르몬을 섭취하는 경우입니다. 트랜스젠더와 같이 여성 호르몬제를 장기간 복용하는 남성들은 유방암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두 번째는 유전적 요인입니다. 특히 BRCA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경우, 유방암 발병 확률이 높아집니다. BRCA 유전자는 헐리우드 배우 안젤리나 졸리가 보유하고 있어 유명해졌습니다.
남성 유방암의 증상
남성 유방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이 없는 작은 혹이 가슴에 만져지는 것입니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유방 조직이 적기 때문에, 작은 혹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로 유두 아래쪽에 혹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가슴을 쥐어짜듯이 만지는 것은 피하고, 3개의 손가락으로 가슴을 누르듯이 만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유두뿐만 아니라 유방 어느 부위에서도 암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슴과 겨드랑이, 쇄골 위쪽까지 꼼꼼하게 점검해야 합니다.
유두에서 피가 나는 증상도 간혹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체중 감소나 전신 무력감 같은 일반적인 암 증상은 남성 유방암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없다고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
남성 유방암의 치료법
남성 유방암의 치료 방법은 여성 유방암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남성의 경우 유방 조직이 적고 유두 아래쪽에 암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유방을 완전히 절제하는 수술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일부 환자들은 유두를 보존하기 위해 부분 절제술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이후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항암치료, 호르몬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을 받게 됩니다.
남성 유방암에 대해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Q&A
Q1: 남성 유방암은 여성 유방암과 어떻게 다른가요?
남성은 여성에 비해 유방 조직이 적어, 암이 비교적 빨리 근육이나 피부 조직을 침범하게 됩니다. 또한, 남성 유방암은 여성 유방암에 비해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양성인 경우가 많아 치료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Q2: 남성 유방암은 나이와 관계가 있나요?
남성 유방암 역시 나이가 들수록 발생 확률이 증가합니다. 이는 나이가 들수록 세포 돌연변이의 발생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Q3: 남성 유방암에 취약한 고위험군이 있나요?
여성 호르몬 수치가 높은 남성, 예를 들어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트랜스젠더나 BRCA 유전자를 보유한 남성들이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이들은 일반 남성보다 몇십 배 더 유방암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남성 유방암의 후유증
남성 유방암은 여성 유방암에 비해 더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필요로 할 때가 많습니다. 그 결과, 림프절을 완전히 절제하는 수술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림프부종이라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수술 부위 팔이 심하게 부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겨드랑이 림프절을 절제하면 팔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어깨 관절의 움직임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남성 유방암의 예방과 자가 진단
아직까지 남성 유방암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병이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자가 진단을 통해 혹이 만져진다면 즉시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건강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예방책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