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식] 유럽에 방충망이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리는 방충망을 당연하게 여기지만,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네덜란드, 포르투갈 등 유럽의 많은 나라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유럽에는 모기나 파리가 없는 걸까요?
물론 아닙니다. 모기나 파리가 유럽에서는 사람을 물지 않는 걸까요? 그것도 아닙니다. 저 개인적으로도 독일에 있을 때 한밤중에 큰 벌레가 방으로 들어와 밤새 잡느라 고생한 기억이 있습니다. 우리처럼 방충망을 달면 간단히 해결될 일을 왜 유럽인들은 불편함을 감수하는 걸까요?
유럽의 창문 디자인
유럽의 집과 건물을 자세히 보면 창문 모양이 우리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창문이 가로로 길고 세로로 짧은 형태지만, 유럽의 창문은 가로가 짧고 세로로 긴 경우가 많습니다.
창문 하나하나의 크기도 작고, 건축 면적에 비해 창문의 수도 적습니다. 바로 이 창문의 차이가 방충망의 유무를 결정하는 첫 번째 이유입니다.
유럽과 한국의 건축 자재 차이

유럽과 우리의 창문이 다른 이유는 건축 자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유럽의 집들은 오랜 시간 동안 돌과 벽돌로 지어져 왔습니다. 바닥은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연중 골고루 비가 내려 지반 침하나 침수를 걱정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돌과 벽돌로 벽을 쌓아 올려 아주 튼튼한 집을 지을 수 있었지요. 이렇듯 유럽 건물의 중심은 벽입니다. 이 단단한 벽이 지붕을 떠받치는 형태입니다. 유럽의 오랜 유적지를 보면 다른 건물은 무너져도 벽만은 지금까지 멀쩡한 곳이 많습니다.
하지만 벽 중심의 건축물에는 하나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창문을 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우리처럼 창문을 가로로 널찍하게 내면 돌과 벽돌의 하중을 견디기 어렵습니다. 벽이 무너지면 당연히 집도 무너지는 것이죠. 그래도 햇빛은 집 안에 들어와야 하고, 요리할 때 연기를 밖으로 빼내야 하니 창문을 내지 않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유럽의 창문은 가로 폭을 줄이고 대신 세로로 길쭉한 형태로 만들게 된 것입니다.
유럽의 창문과 세금
유럽의 창문이 이렇게 된 데는 세금 문제도 한몫했습니다. 18세기 프랑스의 루이 16세는 영국이 창문 수를 기준으로 세금을 걷어 국가 재정을 충당하는 것을 보고 창문 폭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기로 했습니다.
이는 나름 현명한 방법이었습니다. 긴 가로 창문을 내는 것은 더 많은 재료와 기술이 필요해서 건축비가 비쌀 수밖에 없었습니다. 즉, 돈 많은 사람에게 과세한 것이니 조세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았던 것이죠. 이런 이유로 유럽에서는 19세기까지 창문 너비에 따라 세금을 매기는 나라들이 많았습니다.
방충망의 설치 어려움
그럼 창문 너비와 방충망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우리는 대개 옆으로 여닫는 미서기 창을 사용하지만, 유럽은 창문의 일부만 안쪽으로 여닫는 틸트 창을 주로 사용합니다.
일부는 아래위로 여닫는 오르내리기 창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렇다 보니 그 틈새에 창문 바깥쪽으로 방충망을 설치하기가 어렵습니다. 업자를 부르는 인건비 때문에 비용도 상당합니다. 아예 건물을 지을 때 방충망을 달아 놓으면 좋겠지만 그것도 쉽지 않습니다.
좁은 창문에는 미서기 창을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좁은 창문을 절반만 개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국, 새로 설치된 창문 전체에 방충망을 달게 되는데, 이는 유사시에 여닫는 것이 불가능한 고정 방충망이 됩니다. 1년 내내 이 방충망을 통해 바깥을 본다면 우리라도 선뜻 선택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유럽의 벌레와 날씨
유럽의 창문에는 방충망이 없지만, 대신 철제 블라인드나 나무 덧문을 설치한 집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여름에는 뜨거운 햇볕을 가리고 겨울에는 차가운 바람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이 블라인드와 덧문이 벌레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니 나머지는 참고 견디면 여름은 금방 지나간다고 유럽인들은 느긋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 유럽은 점점 더 더워지고 있으며 여름도 길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벌레의 생존 기간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유럽의 온도 상승으로 아프리카 모기들이 지중해 연안에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댕기열이나 말라리아의 위험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방치된 수영장, 물웅덩이 등에서 모기가 급격히 늘 가능성도 있습니다. 어쩌면 앞으로는 유럽에서도 방충망을 설치한 집들이 급증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