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무원 직급 체계(1급~9급)에 대한 일반 정보
국가공무원법에 따르면, 국가공무원은 1급부터 9급까지로 구분됩니다. 국가공무원이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같은 중앙부처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을 의미합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는 지방공무원도 있지만, 이번 글에서는 중앙부처에 소속된 국가공무원에 대해 집중해보겠습니다.
공무원 직급 구조
공무원은 9급에서 1급까지 존재하며, 그 위에는 차관, 장관, 국무총리, 대통령이 있습니다. 9급부터 1급까지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공무원의 이미지와 일치합니다.
공무원 채용시험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9급 공무원 시험, 7급 공무원 시험, 그리고 흔히 행정고시라 부르는 5급 공무원 채용시험이 있습니다.
이들은 같은 공무원이지만 조직에서 시작하는 출발점이 다릅니다.
공무원 승진 체계

일반적으로 9급 공무원이 7급까지 승진하는 데 약 8에서 10년, 7급에서 5급까지 가는 데에는 15에서 20년이 걸립니다. 이로 인해 시험 제도로 인한 승진 격차가 상당합니다.
중앙부처에서의 공무원 호칭과 역할
중앙부처에서 6급 아래로는 모두 별도 보직이 없는 실무자로, 세종시에 위치한 부처 본부들은 대부분 8~9급 TO가 없기 때문에 보통 7급부터 본부에서 일할 수 있습니다.
9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신입들은 본부보다 산하 기관으로 발령이 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고용노동부에 합격한다면 지방청이나 지방고용센터로 발령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종시 본부 청사에서 근무하는 6급까지는 모두 실무자이며, 서로를 주무관으로 부릅니다.
5급부터는 사무관이라는 별도의 호칭으로 불리며, 행정고시를 통해 사무관부터 커리어를 시작하게 됩니다. 9급 출신의 경우 사무관이 사실상 승진의 상한선입니다.
주요 직급 설명
5급 사무관
임용될 때 대통령 명의로 임명장이 수여되며, 중앙부처 조직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연차가 낮은 사무관은 실무자 역할을 하지만, 경력이 쌓이면 팀을 이끌게 됩니다.
4급 서기관
사무관에서 약 10년 후에 승진할 수 있으며, 대다수 공무원들에게 꿈의 직급입니다. 과장 자리를 맡게 되며, 실질적인 관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3급 부이사관
행정고시 합격자들이 대부분 차지하는 직급으로, 국가에서 별도로 관리하는 고위공무원단(고공단)에 속하게 됩니다. 상위 0.1%에 해당되는 명예로운 자리입니다.
2급 이사관
중앙부처 국장을 역임하며, 민간 기업의 상무 또는 이사에 해당하는 위치입니다. 국장 자리는 공무원의 꽃으로 불리며, 중요한 정책 결정에 관여합니다.
1급 관리관
실장을 맡게 되는 자리로, 사기업으로 치면 전무, 부사장에 해당합니다. 국장에서 실장으로 승진하는 기간은 약 5년이며, 행정 공무원 사회의 정점에 해당합니다.
공무원의 계급은 고고익선이 좋아 보이기는 해도,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며 절제하는 사람이야말로 가장 명예롭다고 할 수 있습니다.
중앙부처 공무원의 직급 체계를 이해하면 공무원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