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심폐소생협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 CPR 방법

예비군 훈련이나 군대에서 가장 유용한 지식 중 하나로 CPR(심폐소생술)을 꼽는 군인들이 많습니다. 실제로 예비군 장병들이 심폐소생술을 통해 심장마비 환자를 살린 사례가 뉴스에 자주 보도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대한심폐소생협회 교육 자료를 참고하여 가족이나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심폐소생협회 사이트 바로가기 및 CPR 방법
대한심폐소생협회 사이트 바로가기 및 CPR 방법

대한심페소생술협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심폐소생술(CPR) 이란?

정의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 시에 인공적으로 혈액 순환을 유지하고 호흡을 지원하는 응급치료법입니다.

목적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 혈액 순환을 유지함으로써 뇌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중요성

심장마비 환자에게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면 생존율이 3배 이상 증가하며, 적절한 시점에 심폐소생술을 받지 못하면 뇌손상으로 인해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PR 수행 단계

1. 반응 확인

  • 안전한 상황 확인 후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톡톡 치며 응답을 확인합니다.
  • 환자의 응답이 없다면 주변인에게 119 신고를 요청하고, 주위에 심장충격기가 있다면 사용합니다.

2. 호흡 확인

  • 환자의 얼굴과 가슴을 관찰하여 호흡을 확인합니다.
  • 호흡이 없거나 비정상적이라면 119에 신고하고 가슴압박을 시작합니다.

3. 가슴압박 30회 시행

  • 환자를 안전한 평평한 곳에 눕힌 후 흉골 하부에 손을 겹쳐 가슴압박을 30회 시행합니다.
  • 압박은 분당 100~120회, 깊이는 성인 기준으로 5cm로 시행하며, 손가락이 가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4. 인공호흡 2회 시행

  • 환자의 기도를 개방하고 머리를 젖혀 인공호흡을 2회 시행합니다.
  • 인공호흡 시 환자의 가슴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합니다.

5.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반복

  •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합니다.
  • 여러 구조자가 있다면 역할을 교대하여 심폐소생술을 지속합니다.

6. 회복자세

  • 환자가 소리를 내거나 움직이는 경우 호흡이 회복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회복되었다면 환자를 옆으로 돌려 눕히고 상황을 계속 관찰합니다.

위의 과정을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