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전기방석 리콜 브랜드 공개 (화재위험 조심)
겨울철에 흔히 사용되는 전기방석이 안전 문제로 조명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 제품의 열선 온도를 측정한 결과, 126.5도로 안전 기준값인 100도를 크게 초과했습니다. 또 다른 전기장판의 열선 온도는 124.8도로, 기준값인 95도보다 30도 가까이 높았습니다. 이러한 고열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이 큽니다.
![[최신] 전기방석 리콜 브랜드 공개 (화재위험 조심)](https://ilovesejongcity.com/wp-content/uploads/2023/12/최신-전기방석-리콜-브랜드-공개-화재위험-조심.png)
꼭 아래에서 전기방석 제품을 확인하시고 집이나 혹시 부모님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품을 꼭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정부는 겨울철에 사용되는 난방용품 등 65개 품목 총 1천여 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문제가 있는 45개 제품에 대해 리콜 명령을 내렸습니다. 리콜 대상에는 전기매트, 전기난로, 핫팩 등 20개의 전기용품, 4개의 생활용품, 그리고 21개의 어린이 제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기방석 리콜 브랜드 공개
구
분 |
품목명 | 업체명 | 모델명(제조/수입구분) | 부적합 내용 |
인증번호 | ||||
1 | 전기방석
(6개) |
우진테크 | WJ-EC500-1(제조) | ㅇ온도상승 부적합
– 표면: (측정값) 67.1 ℃ / (기준값) 50 ℃ – 열선(정상상태): (측정값) 112.7 ℃ / (기준값) 100 ℃ |
HH071235-22009 | ||||
2 | 한일전기매트 | HL106(제조) | ㅇ 온도상승 부적합
– 표면: (측정값) 58.8 ℃ / (기준값) 50 ℃ – 열선(정상상태): (측정값) 126.5 ℃ / (기준값) 100 ℃ – 열선(2차 열조절전): (측정값) 126.5 ℃ / (기준값) 120 ℃ |
|
HL07114-20001 | ||||
3 | (주)대호플러스 | DHB-P3019(제조) | ㅇ온도상승 부적합
– 표면: (측정값) 44.5 ℃ / (기준값) 37 ℃(저온모드) – 열선(정상상태): (측정값) 102.1 ℃ / (기준값) 95 ℃ |
|
HH071508-19029 | ||||
4 | 창영테크 | CYB-100(제조) | ㅇ온도상승 부적합
– 표면온도: (측정값) 61.3 ℃ / (기준값) 50 ℃ |
|
HH071987-19001 | ||||
5 | (주)닥터서플라이 | DH0020002(제조) | ㅇ온도상승 부적합
– 표면: (측정값) 91.4 ℃ / (기준값) 85 ℃ |
|
XA070068-20004 | ||||
6 | ㈜한솔 일렉트로닉스 |
BNC-AB360(제조) | ㅇ온도상승 부적합
– 표면: (측정값) 52.8 K / (기준값) 35 K – 열선: (측정값) 91.2 K / (기준값) 80 K |
|
XK070065-22001 |
산업통상자원부의 박순영 국가기술표준원 공업연구원은 “기준치 이상의 온도가 나타나는 그런 제품들이 다수를 차지해서 이번에 리콜에 포함되었습니다. 화상의 위험이 있는 그런 제품들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어린이 제품 중에는 피부염이나 각막염, 중추신경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납이 과다 검출된 경우도 있습니다. 중국에서 수입된 어린이용 손목시계에서는 기준치의 272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되었으며, 유아용 침구류에서도 납 검출량이 기준치의 4.5배에 달했습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45개 제품의 시중 유통을 차단하고, 제품안전정보센터 등 온라인에서 관련 제품 정보를 공개했습니다.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업체에 요청하면 제품의 수리, 교환, 환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 안전한 난방을 위해 소비자들은 안전성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제품은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