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동네예보가 맞지 않는 이유
날씨를 정확하게 맞추기란 왜 이렇게 힘든 걸까요?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류의 생존은 날씨와 직결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끊임없이 날씨에 대해 탐구해 왔습니다. 그러나 현재 지구는 인류로 인해 기이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경험으로 축적해온 데이터와 통계가 예상을 빗나가고, 오늘날 날씨 예측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기상 예측의 방법과 한계

각국의 기상청은 초기 관측값과 인공 위성 등을 활용하여 날씨를 예측합니다. 이때 북극과 남극, 바다와 같은 곳에서의 관측값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치 예보 모델은 지구를 작은 격자로 나누고 물리 방정식을 풀어서 하나의 격자 날씨가 이웃 격자의 날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산합니다. 이 모든 데이터와 기술들로 날씨를 예측하게 되지만, 국내외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도 밝혀낼 수 없는 방정식들로 인해 인류가 알 수 없는 미지의 자연 현상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복잡계는 날씨 예측을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날씨 예측의 예시, 한 장의 종이
한 장의 종이가 어디에 떨어질지 예측하는 것을 날씨 예보라고 가정해 봅시다. 지면으로부터 1m 위에서 종이 한 장을 떨어뜨려 봅니다. 이때 우리는 종이가 어디에 떨어질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양한 물리적 힘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날씨도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지구 표면의 70%는 바다로 덮여 있어 이를 이해하고 측정하는 것 역시 어려운 일입니다.
기후 변화와 예측의 어려움
기후 변화는 기존 예측 방식을 더욱 부정확하게 만듭니다. 그래서 가장 피말리는 것은 사실 예보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두 번째 문제는 빨리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느냐입니다. 잘못된 예보로 인해 오늘 하루가 실망스러울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누군가가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면 이는 의미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상청의 역할과 중요성
어느 지역에 어떤 날씨가 퍼질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큰 범위로 예보를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특정 지역에서는 너무 많은 예보를 했다고 비판할 수 있지만, 사람의 생명이 걸려 있는 경우에는 엄중함을 과하게 평가하는 것이 지나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했음에도 날씨 예보는 물리적 계산의 어려움, 관측의 한계와 기후 변화를 극복해야 합니다. 극한 날씨가 잦아질수록 기상청의 역할도 커집니다. 우리는 오늘도 날씨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