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람은 안주 없이 술을 마시나? 동서양의 술 문화 차이
술은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요?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는 디오니소스가 포도주의 신이라 하고, 이집트에서는 오시리스가 술의 신이라 전해집니다.
성경에서는 하느님이 노아에게 술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고 합니다. 프랑스의 문호 빅토르 위고는 “물은 신이 만들었지만, 술은 인간이 만들었다”고 말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술은 인간이 아닌 원숭이가 처음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숭이가 움푹 팬 바위에 숨겨놓은 과일이 발효되면서 술이 만들어졌고, 이를 우연히 인간이 발견하고 맛보게 된 것이 술의 기원이라는 설입니다. 이러한 술은 선사시대 이래로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인간과 함께 해왔습니다.
다만 몇몇 예외적인 지역이 있는데, 알래스카의 에스키모인들과 건조한 지역에 살던 아메리카 인디언 및 호주 원주민들입니다. 이들은 자연발효가 어려운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 술이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술과 안주 문화의 기원

다양한 환경 속에서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은 술을 마셨고, 그로 인해 각기 다른 술 문화가 형성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특징적인 것은 술과 함께 먹는 안주입니다. 동양,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의 동북아시아에서는 안주 없이 술을 마시는 것을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서구권에서는 안주라는 개념이 거의 없어 대개 술만 마십니다.
술은 고대 제사의식에서 성스러운 음료로 사용되었습니다. 처음에는 고기와 피를 제물로 바쳤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음식이 제물로 사용되었고, 쉽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술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동양에서는 술이 제사 후 나누어 먹는 음식의 일부로 자리잡았고, 농경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농경사회는 집단주의를 형성하게 마련이었고, 술은 이러한 집단의식의 매개체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동양에서는 술을 마실 때 안주를 함께 먹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정착되었습니다.
서양의 술 문화
서양에서는 술을 마실 때 안주를 함께 먹는 문화가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습니다.
런던이나 파리, 로마 같은 대도시의 술집에서는 간단한 과자나 감자튀김, 견과류 등을 내주기도 하지만, 동양처럼 푸짐한 요리가 제공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서양에서는 술이 단순히 마실거리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안주를 따로 준비하는 문화가 발달하지 않았습니다.
맥주와 포도주 같은 발효주가 물의 대용품으로 사용되었고, 이로 인해 안주와 함께 마실 필요가 없었습니다. 유럽에서는 증류주가 발달하면서 안주 없이 술을 마시는 문화가 자리잡았습니다. 페스트와 같은 전염병의 영향으로 모임을 피하게 되면서 혼자 술을 즐기는 문화가 생겨난 것이죠.
술 문화의 차이
이렇듯 동서양의 술 문화는 환경, 역사, 사회적 요소에 따라 다르게 발전해왔습니다.
동양에서는 술이 사람들 간의 친교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고, 서양에서는 술이 개인적인 음료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오늘날에도 술과 함께 먹는 안주 문화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술과 함께 다양한 안주를 즐기며 사람들과의 유대감을 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 서양에서는 술 자체를 즐기며 개인의 취향에 맞게 술을 선택하고, 향을 즐기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 환경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