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개인형 IRP로 받아야 하는 이유와 바로 해지
오늘날 우리는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유튜브와 넷플릭스는 가장 인기 있는 동영상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사람들은 어떤 이유로 이 플랫폼을 사용하고,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떤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지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유튜브와 넷플릭스 이용 행태의 성별 및 연령대별 차이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유튜브는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이 중에서도 남성과 여성의 선호도가 뚜렷이 나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성은 ‘스포츠 중계’와 ‘뉴스/시사’ 콘텐츠를 시청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이는 남성이 정보성 및 실시간 업데이트 콘텐츠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면, 여성은 ‘드라마’와 ‘뮤직비디오/공연 영상’ 콘텐츠를 선호합니다. 이는 여성 이용자들이 감정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이야기 중심의 콘텐츠와 음악을 더 많이 소비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개인이나 소집단이 제작한 콘텐츠의 경우에도 성별 차이가 두드러집니다. 남성은 ‘게임’(36.0%)과 ‘스포츠 관련 영상’(27.4%)을 즐겨 시청하는 반면, 여성은 ‘패션/뷰티’(23.1%)와 ‘먹방/쿡방/요리’(36.3%) 콘텐츠를 더 자주 시청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흥미와 관심사가 크게 다름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유튜브 이용 행태는 연령대별로도 큰 차이를 보입니다. 젊은 층, 특히 초·중·고 학생들 사이에서는 ‘애니메이션’과 ‘게임’ 콘텐츠의 시청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예를 들어, 초·중·고 연령대에서는 ‘애니메이션’(22.7%)과 ‘게임’(55.3%)이 가장 높은 시청 비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이들이 주로 오락성과 재미를 추구하는 콘텐츠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뉴스와 시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60대에서는 ‘뉴스/시사’(62.4%)와 ‘교양/다큐멘터리’(46.9%)가 가장 높은 시청 비율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층이 정보성 콘텐츠를 선호하며, 사회적, 정치적 이슈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넷플릭스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서도 성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남성 이용자는 ‘교양/다큐멘터리’ 콘텐츠를 여성보다 더 자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23.6%). 이는 남성들이 정보성 콘텐츠나 학습적인 내용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반면, 여성 이용자는 ‘드라마’(82.2%)와 ‘예능/오락’(51.6%) 콘텐츠를 남성보다 더 많이 시청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특히, 드라마의 경우 여성 시청자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여성들이 스토리텔링과 감정적인 요소를 포함한 콘텐츠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넷플릭스 이용자들의 연령대별 이용 행태도 유튜브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 초·중·고 연령대의 경우 ‘애니메이션’(68.4%)과 ‘예능/오락’(68.4%)에 대한 선호가 매우 높았으며, 이는 젊은 층이 가벼운 오락과 즐거움을 주는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는 ‘교양/다큐멘터리’(34.4%)와 ‘뉴스/시사’(28.1%) 콘텐츠의 시청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들은 정보와 학습에 대한 욕구가 강하며, 더욱 심도 있는 콘텐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두 플랫폼 간 콘텐츠 선호도에도 흥미로운 차이가 있습니다. 유튜브는 다양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어, 개인적인 관심사에 따라 콘텐츠 선택이 다양합니다. 반면, 넷플릭스는 주로 전문 제작사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더 높은 품질의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등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이용자들이 각 플랫폼을 선택하는 이유와도 연결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 이용자들은 짧고 가벼운 콘텐츠나 특정 관심사에 대한 정보성 콘텐츠를 빠르게 소비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넷플릭스 이용자들은 더 긴 시간 동안 몰입하여 감상할 수 있는 드라마나 영화를 선호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OTT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첫째, 유튜브와 넷플릭스 모두 성별과 연령대별로 콘텐츠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콘텐츠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는 젊은 층을 겨냥한 게임, 애니메이션 콘텐츠와 더불어 여성 시청자를 위한 패션/뷰티, 먹방/쿡방 콘텐츠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드라마와 예능 콘텐츠에 대한 여성 이용자의 선호를 반영해 더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를 제작하고, 남성 이용자를 위해 교양/다큐멘터리 콘텐츠를 강화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와 넷플릭스의 콘텐츠 이용 행태 분석을 통해, 성별과 연령대별로 선호하는 콘텐츠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각 플랫폼은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개인화된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하거나, 특정 연령대와 성별을 겨냥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더 많은 이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사람들의 다양한 취향과 관심사를 반영하는 콘텐츠 전략이 성공적인 플랫폼 운영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올여름, 정부가 역대 최대 규모로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덕분에 수많은 국민들이 식비와 생필품 같은…
급격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지금,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 저하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돌봄 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한때 ‘꿈의 휴양지’로 불리던 인도네시아 발리가 2025년 현재, 치명적인 전염병인 광견병으로 인해 다시 한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