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치매 환자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실종 사고 또한 해마다 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치매 환자 실종 신고 건수는 1만 6천여 건으로 집계되며, 이는 2020년 대비 약 26%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치매 환자가 실종될 경우 신속한 발견과 안전한 귀가는 생명과 직결됩니다. 이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바로 ‘치매환자 지문 사전 등록제도’입니다.
지문 사전 등록제도는 치매 환자가 실종됐을 때 빠르게 신원을 확인하고 보호자에게 안전하게 인계할 수 있도록,
주요 정보를 경찰 시스템에 미리 등록해두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2012년 7월 경찰청에서 본격 도입되어, 이후 실종자 조기 발견과 귀가율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치매 환자는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해 자신이 누구인지, 어디 사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집 근처에서조차 길을 잃거나, 자택 내에서도 방향 감각을 잃는 사례도 존재합니다.
✅ 실제 사례: 2024년 서울의 한 주택가에서 신발도 신지 않은 채 거리에서 방황하던 70대 치매 환자가 지문 사전 등록 덕분에 30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갔습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문 등록을 마친 치매 환자는 평균 1시간 이내 구조되는 등 신속한 발견률을 자랑합니다. 이는 곧 저체온증, 탈수, 낙상 등 생명 위협 요소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실질적 안전망’으로 작용합니다.
구분 | 2020년 | 2024년 | 누적 등록 건수 |
---|---|---|---|
등록 인원 | 3,590명 | 6,983명 | 138,956건 |
등록률 | – | 30% 미만 | 전체 치매 환자 대비 |
등록 인원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체 치매 환자 대비 등록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경찰청은 지자체, 금융기관, 민간기업과 협력해 다양한 홍보 및 인센티브 제공 정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는 진단서, 처방전, 등본 등 필요 서류를 지참하면, 경찰과 연계해 등록을 도와줍니다.
※ 필요 서류는 치매안심센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 문의 권장
치매 환자의 실종은 단순히 한 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돌봄과 책임이 요구되는 공공 문제입니다.
지문 사전 등록제도는 실종 예방과 빠른 귀가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제도입니다.
지문 등록은 선택이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필수 조치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제도를 알고, 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관심과 행동이 필요합니다.
올여름, 정부가 역대 최대 규모로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덕분에 수많은 국민들이 식비와 생필품 같은…
급격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지금,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 저하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돌봄 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한때 ‘꿈의 휴양지’로 불리던 인도네시아 발리가 2025년 현재, 치명적인 전염병인 광견병으로 인해 다시 한 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