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운 공수처 후보자 프로필 총정리
오늘은 한여름 더위의 절정, 말복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초복, 중복, 말복으로 이어지는 삼복(三伏) 기간에 몸을 보양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이 기간에는 삼계탕, 장어, 육류 등의 보양식을 섭취하며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렇다면 삼복의 유래와 의미는 무엇일까요?
조선 시대에는 삼복날이 되면 왕과 대신들이 더위를 이기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치렀습니다. 궁중에서는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氷票)를 나누어 주었고, 이를 받은 사람들은 얼음을 저장해 두었던 빙고(氷庫)에서 얼음을 받아갔다고 합니다. 이는 당시 얼음이 귀했기 때문에, 여름철 더위를 이겨낼 수 있도록 배려한 일종의 특권이었습니다. 또한 삼복 기간에 비가 오는 것을 상복기(霜伏期)라 불렀는데,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복날 비를 “농사비”라 부르며 비를 반겼고, 충북 보은 지역에서는 복날 비가 오면 흉년이 들 것을 우려하는 속설이 전해지기도 했습니다.
삼복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우리 선조들은 보양식을 많이 섭취했습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따뜻한 성질을 가진 닭고기는 오장을 안정시키고 몸의 저항력을 키워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삼복 기간에는 삼계탕과 같은 음식이 보양식으로 즐겨 먹었습니다.
삼복과 유사한 풍습은 다른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삼복을 “푸티엔”이라고 하여, 이 기간에 체력을 보강하기 위해 다양한 보양식을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 특히, 중국의 남부 지방에서는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삼계탕을 비롯한 약재가 들어간 음식을 먹으며 더위를 이겨냅니다. 일본에서는 도요노우시노히(土用の丑の日)라는 여름철 풍습이 있는데, 이 날에는 주로 장어를 먹으며 기력을 보충합니다. 장어는 높은 영양가로 여름철 더위에 지친 몸을 회복시키는 음식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오늘은 말복, 삼복 중 마지막 복날입니다. 말복을 맞아 보양식을 드시고, 남은 여름도 건강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삼복의 유래와 다양한 전통을 통해 더위를 이겨내는 지혜를 배우는 것도 흥미로운 일입니다. 각국의 다양한 여름철 풍습을 이해하며, 자신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올여름, 정부가 역대 최대 규모로 추진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덕분에 수많은 국민들이 식비와 생필품 같은…
급격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든 지금, 노인의 신체적·인지적 기능 저하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돌봄 제도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한때 ‘꿈의 휴양지’로 불리던 인도네시아 발리가 2025년 현재, 치명적인 전염병인 광견병으로 인해 다시 한 번…